하나금융그룹 차원에서 만든 모바일 결제 서비스 ‘글로벌 로열티 네트워크(GLN)’가 대표적인 디지털 신사업이다. GLN은 국경 제한 없이 모바일로 자유롭게 송금 및 결제가 가능한 해외결제 서비스 플랫폼이다. 현재 세계 14개국 총 58개사와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GLN으로 결제하면 실시간으로 국가별 환율이 자동 적용된다. 별도의 환전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게 장점이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지난 4월 대만, 5월 태국을 시작으로 아시아 주요 지역으로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있다”며 “GLN을 세계 금융회사, 유통회사, 포인트 사업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허브로 키우는 게 그룹 차원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은 모바일로 달러, 유로 등 12종의 외화를 당일 환전 및 수령할 수 있는 ‘환전지갑’도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페이, 토스, 페이코 등 간편결제 플랫폼을 통해서도 제공하고 있다. 출시 10개월 만에 100만 건 이용을 기록했다.
지난 6월 출시한 모바일 신용대출 상품 ‘하나원큐 신용대출’의 취급 금액은 지난달 30일 기준 1조2560억원을 기록했다. 기존 온라인 신용대출 판매 추이와 비교하면 폭발적인 반응이라는 분석이다. KEB하나은행 내부에선 이 상품을 ‘컵라면 대출’로 부른다. 지성규 KEB하나은행장이 “컵라면이 익는 동안 모바일 신용대출 절차가 끝나도록 하겠다”며 운영 체계를 통째로 바꿨기 때문이다. 회원 가입은 물론 로그인하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은행의 거래가 없어도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만 있으면 앱(응용프로그램) 실행 후 3분 만에 대출한도 조회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인공지능(AI) 분야 사업을 키우는 데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달엔 AI 기반 대화형 뱅킹 서비스 ‘하이(HAI)뱅킹’의 고도화 작업을 완료했다. 문자나 음성 입력, 촬영을 통해 금융 거래를 요청하고 챗봇(채팅로봇)의 답변을 들을 수 있다. 자금이체, 조회, 환전, 해외송금, 공과금 납부, 상품 가입까지 모두 하이뱅킹을 통해 가능하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향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은 내년까지 디지털 인력 1200명을 육성할 계획이다. 지 행장은 “직원 1만3000여 명 중 2000명가량은 코딩을 활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으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