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가동을 시작한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수집된 1억700만건의 처방 정보를 분석,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1년 동안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천786만명으로, 국민 2.9명 중 1명이었다.
성별로는 여성(57.4%)이, 연령대별로는 50대(21.5%)가 가장 많았다.
효능군별로는 마취·진통제, 최면진정제, 항불안제 순으로 처방 환자 수가 많았다. 같은 기간 약물별 환자 수는 수면마취제 성분인 프로포폴이 773만명으로 처방이 가장 많았다. 국민 7명 중 1명꼴이다.
전체 프로포폴 처방 환자 3명 중 1명꼴인 257만명은 수면내시경 등 건강검진을 위해 사용했다.
식약처는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데 따라 수면내시경 등 건강검진을 위해 프로포폴을 사용한 환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수면제 성분인 졸피뎀이 178만명, 식욕억제제(펜터민·펜디메트라진·디에틸프로피온·마진돌·로카세린 등 5개 성분)가 129만명이었다. 식약처는 이렇게 분석한 환자별 처방 정보, 의사별 처방 현황 등을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으로 의료진에 발송했다.
의사에게는 처방량과 환자 수, 처방 건수뿐만 아니라 치료 기간을 초과해 처방하는 등 허가사항과 다르게 쓰이는 점검 사항, 다른 의사와의 처방 비교 등 총 12항목의 통계 자료를 제공했다.
식약처는 의사들이 이를 통해 본인의 의료용 마약류 처방내역을 확인하고 자가 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식약처는 이번 서한이 의료용 마약류의 적정 처방 및 사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2020년에는 진통제(11개 성분),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 치료제 등으로 분석 대상 의약품을 지속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