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860856.1.jpg)
산업단지는 제조업의 요람이다. 하지만 대중교통이 불편한 곳이 많다. 대기업은 통근버스 등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그럴 형편이 못 된다. 그렇다고 지방자치단체가 무턱대고 노선버스를 늘릴 수도 없다. 출퇴근 시간 이외엔 이용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산업단지에 취직하려는 근로자는 우선 자가용이 있어야 한다. 일부 기업은 아예 취업조건으로 자가용 보유를 따지는 경우도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867158.1.jpg)
조 대표는 ‘같은 산업단지에 있는 기업 임직원끼리 카풀을 한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운전자는 수익이 생기고, 차량 이용자는 출퇴근길이 편리해진다”며 “이게 활성화되면 입주기업들은 구인난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등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이런 비즈니스 모델을 바탕으로 쉐어앤쉐어는 작년에 아산시와 계약을 맺었다. 아산시의 지원을 받는 것이다. 자체 개발한 앱 ‘카풀로’를 활용해 산업단지 내에서 카풀 사업을 하고 있다. 조 대표는 “이용 요금은 택시의 절반 이하”라고 설명했다.
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역점을 둔 부분은 세 가지다. 첫째, 운전자와 이용자 간 신뢰 문제다. 그는 “외국에선 카풀 여성을 운전자가 살해한 사건도 있었다”며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몇 가지 까다로운 절차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우선 운전자에겐 재직증명서 신분증 자동차등록증 보험증권 은행계좌 신용카드 정보 등을 요구한다. 이용자에겐 재직증명서 신분증 신용카드 정보를 요구한다. 좌석선택제, 대화 금지 등 이용자가 몇 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조 대표는 “회원 가입을 할 때 직장인이라는 걸 증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어느 직장에서 근무하는 누구라는 게 나타나야 가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타는 사람은 부담이 작고 운전자는 경제적 이득이 있어야 지속적인 비즈니스모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둘째, 법률의 테두리 안에서 사업을 하자는 것이다. 경계를 벗어나면 자칫 이해관계자들과 마찰을 빚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오전 7~9시, 오후 6~8시 출퇴근시간에만 카풀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는 법적으로 허용되는 내용이라고 조 대표는 설명했다.
셋째,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다. 그가 산업단지 근로자에게 눈을 돌린 것도 이 때문이다. 그는 천안에 본사를 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며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어려움을 알고 있었다. 산업단지엔 버스 노선이 없는 경우도 많다. 차량이 없는 청년들은 취직 후 몇 달 안에 대부분 차를 구입하게 된다. 산업단지는 차로 뒤덮이고 사회적으론 연료 사용이 늘어나고 출퇴근 시간엔 곳곳에서 차량 정체현상이 빚어진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15913635.1.jpg)
김낙훈 기자 n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