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46352.1.jpg)
‘아이폰11 프로’를 직접 써봤다. 이전 제품에 비해 가장 개선된 기능은 역시 카메라였다. 야간 모드를 사용하면 어두운 환경에서도 밝기와 색감이 살아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셔터를 수 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아이폰이 여러 장의 사진을 찍는다. 이를 머신러닝으로 조합해 한 장의 완성도 높은 사진을 만든다. 야간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차이가 컸다.
이번에 처음으로 적용한 초광각 카메라는 기존 광각 카메라에 비해 두 배 넓은 화각을 제공한다. 사진 구도를 잡기 위해 뒤로 멀리 물러나지 않아도 된다. 프로 제품에만 탑재한 망원 렌즈까지 이용하면 초광각에 비해 네 배까지 화질 손상 없이 줌을 당길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43903.1.jpg)
‘슈퍼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는 어두운 부분을 더 선명하게 표현한다. 최대 밝기도 높아졌다. 직접 이용해보니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때문에 아이폰11 프로를 산다”는 애플 팬들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1/AA.20943902.1.jpg)
배터리 이용 시간도 크게 늘었다. 아이폰11 프로 제품은 이전 제품인 아이폰 XS에 비해 완전 충전 이후 네 시간 더 쓸 수 있다. 하루종일 쓰면서 배터리 걱정을 할 필요가 없었다.
앞면의 M자형 노치 디자인은 개선되지 않았다. 베젤(테두리)이 거의 없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10’과 비교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무게도 더 늘었다. 아이폰 프로 맥스는 화면 크기가 같은 이전 제품 아이폰XS 맥스에 비해 무게가 18g 증가했다. 들었을 때 손목에 약간 부담이 느껴지는 무게다.
아이폰11과 아이폰11 프로 제품의 가장 큰 차이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다. 프로 모델은 망원렌즈가 달려 있고 디스플레이의 표현력도 더 좋다. 그러나 초광각 렌즈와 야간 모드는 아이폰11 시리즈 전체에 적용됐다. 프로세서인 최신 A13 바이오닉 칩도 동일하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이용자라면 아이폰11 프로보다 40만원 이상 싼 아이폰11이 ‘가성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