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가 일을 해서 번 돈보다 정부로부터 지원 받은 돈이 3배 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가 빨라진 영향이다.
24일 통계청의 올해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전국 명목소득 하위 10% 가구(2인 이상)의 월 평균 공적 이전소득은 약 49만원으로 근로소득(15만6000원)의 3.1배에 달했다.
공적 이전소득은 국민연금, 기초연금, 아동수당 등 정부가 지원하는 돈으로 일을 해서 버는 돈보다 정부로부터 지원 받는 금액이 훨씬 크다는 의미다.
공적 이전소득이 늘어난 것은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69세로 치솟은 영향이다.
소득 하위 10%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2003년 통계 집계가 시작됐을 당시만 해도 55세였다. 이후 2008년 1분기 정년인 60세를, 2016년 2분기 65세를, 2018년 1분기 67세를 웃돌더니 불과 1년 만에 69세로 늘어났다.
박상영 통계청 과장은 "2015년 이후 소득 하위 10% 가구주 연령의 상승폭이 빨라졌다"면서 "가구주 연령이 65∼70세가 되면 농사짓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자리를 잃어 소득이 전혀 없어지기 때문에 정부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의 근로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9.8% 감소하는 등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째 감소하고 있다.감소폭은 지난 2분기(-29.0%)보다 축소됐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