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소은행 부실화, 실물경제 충격 가능성 제한"

입력 2019-11-24 14:29   수정 2019-11-24 14:30



중국에서 일부 중소은행들이 부실화하더라도 실물경제가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적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은행의 해외경제포커스에 수록된 '중국 중소은행 부실화 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중국 상업은행의 유형별 자산 비중을 보면 대형상업은행과 주식제상업은해이 70.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상업은행은 15.3%, 기타은행은 14.1% 수준이다. 6월 말 기준으로 도시상업은행은 134개, 농촌상업은행은 1427개다.

보고서는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중국의 경기가둔화되면서 공업기업의 이윤이 감소하는 등 기업 영업 환경이 악화됐다"며 "주로 지방 도시와 농촌을 거점으로 소규모 민간기업을 상대로 영업을 하는 중소은행의 부실 여신이 커졌다"고 했다.

다만 "은행업 전체에서 중소은행의 비중이 크지 않고 당국이 충분한 통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며 "일부 중소은행의 부실화가 발생하더라도 실물경제에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을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에서는 5월 네이멍구자치구의 소규모 은행인 바오상(包商) 은행을 시작으로 7월 랴오닝(遼寧)성 남서부의 진저우(錦州) 은행, 8월 산둥(山東)성 항펑 은행 등 3개 중소은행이 차례로 구조조정을 거쳐 국유화됐다.

최근에는 허난(河南)성 이촨(伊川) 농촌상업은행과 랴오닝(遼寧)성 잉커우(營口) 연안은행이 파산한다는 소문이 퍼져 '뱅크런'(예금 대량인출사태) 현상을 빚기도 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