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부산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부산신항의 부두는 경남 창원시 진해구 해역 쪽으로 확장 건설되면서 부두 규모가 부산보다 경남지역으로 더 넓어진다. 신항만 컨테이너부두는 11월 기준 부산 14선 석, 경남 7선 석에서 2040년에는 부산 17선 석, 경남 34선 석으로 경남지역 항만 규모가 부산보다 두 배 커진다.
창원시는 지난 25일 진해구에 건설하는 부산항 제2신항의 하위 명칭을 ‘진해신항’으로 정해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가 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부산항 제2신항 명칭은 ‘부산항 진해신항’이 된다. 창원시 관계자는 “부두가 앞으로 경남지역에 더 많이 자리잡는 만큼 부두명에 진해신항이라는 이름이 들어가고 항만관리 주체도 경남 측에서 관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부산지역 항만업계 한 관계자는 “부산신항 1단계도 부산과 경남이 명칭을 놓고 8년간 공방을 벌여 한글명은 ‘신항’, 영문명은 ‘Busan New Port’로 확정했다”며 “부산 강서구 가덕도 북안과 경남 진해시 용원·안골동 일대에 건설되는 2단계 신항만도 명칭을 놓고 갈등을 빚을 게 뻔하다”고 말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이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덕신공항 건설도 부산시의 걱정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오 시장은 지난 17일 호소문을 내고 “이미 동남권 관문공항은 물 건너갔다는 체념과 부산·울산·경남의 총선용 이벤트였다는 흑색선전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무총리실과 국토교통부는 가덕신공항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 시장은 “국토부는 김해신공항 기본계획에 관해 국방부, 환경부와 어떤 협의도 하지 않았다”며 “국내 공항 관련 전문가들은 대부분 국토부와 관계를 맺고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전문가들을 추천하고 검증한다면 결과의 공정성을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의 하늘길을 연 에어부산도 올해 2분기부터 영업손실이 발생하며 3분기까지 영업손실 359억원을 기록했다.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일본 여행 수요 급감이 영향을 끼쳤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에 따른 여행 수요 둔화, 공급 증가로 인한 경쟁 심화, 원화 약세 등 대외 환경 변수의 영향도 컸다”고 설명했다.
부산=김태현/창원=김해연 기자 hy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