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110819.1.jpg)
지방의원들의 ‘일탈’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있다. 부적절한 언행은 최근에도 끊이지 않는 이슈다. 대구에서는 민부기 서구의회 의원이 지난 9월 공무원이 말을 듣지 않는다는 이유로 자신의 방으로 불러 질책하며 이 장면을 휴대폰으로 촬영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재한 사건이 있었다. 이해금 경기 평택시의회 의원은 10월 임시회에서 ‘쌈리’로 불리는 집창촌에 대해 “역사가 있는 거리인데 꼭 없애야 하느냐”며 “친구들이 서울에서 오면 성매매 집결지를 구경시켜주는 걸 좋아한다”고 말해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빚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오희숙 충남 공주시의회 의원은 10월 음주운전을 하다가 적발돼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당시 오 의원의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 취소 수치에 해당하는 0.20%에 달했다. 김서연 고양시의회 의원은 7월 본회의에 술을 마시고 참석해 시정 질의를 했다가 음주운전까지 들통나 출석정지 30일 징계를 받았다.
성추행 사건도 있다. 박찬근 대전 중구의회 의원은 6월 회식 자리에서 과도한 신체접촉을 한 점이 인정돼 구의회에서 제명됐다. 이창선 충남 공주시의회 의원은 8월 자신이 낸 예산 삭감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유리 조각을 먹어 버리겠다”며 책상 유리를 깬 뒤 유리 조각으로 자해 소동을 벌였다.
김정동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전문성 있는 인재보다 지역 국회의원 등 공천권자의 수족이 될 사람을 공천하는 정당의 책임이 크다”며 “사건 사고가 발생해도 징계위원회를 열지 않고 쉬쉬하는 의회의 자정작용 부재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