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김대중 정부(1153조원), 박근혜 정부(1107조원) 등의 순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던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땅값 총액이 195조원 줄었다. 연평균 상승액은 문재인 정부가 1027조원으로 가장 컸다. 노무현 정부(625조원), 박근혜 정부(277조원), 김대중 정부(231조원), 이명박 정부(-39조원) 등을 크게 웃돌았다.
경실련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국내에서 민간이 보유한 땅값은 총 9489조원이다. 40년 전인 1979년(총액 325조원)에 비해 9164조원 늘어 30배 가까이 뛰었다. 경실련은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된 1999년 이후 약 7319조원 올라 분양가 상한제 폐지 후 땅값 상승이 두드러졌다고 지적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역대 정부 가운데 땅값 상승폭이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된다”며 “집값, 땅값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강력한 투기근절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