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145572.1.jpg)
더구나 정부는 현재 시가의 68.1%인 아파트 공시가격을 단계적으로 80%까지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예컨대 시가 10억원짜리 아파트를 갖고 있다면 올해는 6억800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했으나 이 기준을 점차 8억원으로 올리겠다는 게 정부 복안이다. 공시가격을 현실화할 경우 당장 재산세와 종부세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건강보험료는 물론 기초노령연금을 산정할 때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종부세 과표를 계산할 때 기준으로 삼는 공정시장가액비율도 내년에 상향 조정된다. 올해 85%인 공정가액비율이 내년 90%로 높아진 뒤 2022년 100%가 된다. 과표가 전혀 바뀌지 않더라도 매년 5%포인트씩 세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는 의미다.
내년 종부세 납부 의무자는 80만 명에 육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종부세 고지 대상자가 올해 증가분(27.7%)만큼 늘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기준이다. 이 경우 종부세 납부자는 전체 주택 소유자(1401만 명)의 3.6%에서 5.0~6.0%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