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자성어 '공명지조(共命之鳥)'…분열된 한국 사회 투영

입력 2019-12-15 14:08   수정 2019-12-15 14:09



우리나라 교수들이 2019년 한국 사회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공명지조'(共命之鳥)를 뽑았다. 분열된 한국 사회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는 것이다.

교수신문은 '올해의 사자성어'에 대해 교수 104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많은 347명(33%, 복수응답 허용)이 공명지조를 뽑았다.

공명조는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다. 이 새의 한 머리는 낮에, 다른 머리는 밤에 각각 일어난다. 한 머리는 몸을 위해 항상 좋은 열매를 챙겨 먹었는데, 다른 머리가 이를 질투했다.다른 머리는 화가 난 나머지 어느 날 독이든 열매를 몰래 먹어버렸고, 결국 두 머리가 모두 죽게 됐다.

어느 한쪽이 없어지면 자기만 살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공멸하게 되는 '운명공동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공명지조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추천한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는 "한국의 현재 상황은 마치 공명조를 바라보는 것만 같다"며 "어느 한쪽이 사라지면 죽게 되는 것을 모르는 한국 사회에 대해 안타까움이 들어 선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공명지조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300명(29%)의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는 '어목혼주'(魚目混珠)였다. 물고기 눈(어목)이 진주와 섞였다는 뜻으로 가짜와 진짜가 마구 뒤섞여 분간하기 힘든 상황을 말한다.

어목혼주를 추천한 문성훈 서울여대 현대철학과 교수는 "올해 우리 사회에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에 대한 검찰 수사"라며 "대통령이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했던 조국과 윤석열 검찰총장 중 하나는 어목이거나 진주일 수 있고, 아니면 둘 다 진주이거나 어목일 수 있다. 그러나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