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279516.1.jpg)
김명립 빌릭스 대표(사진)는 “빌리루빈을 활용한 심근허혈성 재관류 손상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2022년께 임상 1상시험에 들어가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나노엔텍 대표, 유틸렉스 총괄부사장을 지낸 김 대표는 지난해 10월 전상용 KAIST 석좌교수와 함께 창업했다. 물에 녹는 빌리루빈으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급성 심근경색은 사망 위험이 높은 질환이다. 제때 병원을 찾아 치료 받아도 사망률이 5~10%에 이른다. 막힌 혈관을 스텐트(가는 철망)로 뚫어도 심근허혈성 재관류 손상 등으로 심장이 망가질 위험이 높다. 멈췄던 심장으로 혈액이 돌면서 활성산소가 갑자기 많아져 심장근육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심근허혈성 재관류 손상이다. 김 대표는 “세계적으로 임상시험만 150건 이뤄졌지만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며 “치료제 수요가 상당히 높다”고 했다.
빌릭스는 빌리루빈에 주목했다. 황달 원인으로 알려진 빌리루빈은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 분해돼 생긴다. 간 기능이 좋지 않을 때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 수치로 간 기능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도 한다.
세계 과학계가 빌리루빈을 다시 보게 된 것은 1987년부터다. 항산화 작용 효과가 입증돼 논문만 1000편 넘게 발표됐다. 빌리루빈의 항산화 효과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글루타치온의 100배에 이른다.
하지만 이를 치료제로 개발하는 데 성공한 회사는 없다. 물에 녹이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빌릭스는 녹는 빌리루빈(페길화 빌리루빈)에 관한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빌리루빈이 염증 반응을 줄여주기 때문에 염증성 장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는 물론 이식장기의 생착률을 높이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김 대표는 “기술을 개발한 전 교수, 하버드대 심장내과 의사인 피터 강 등이 기술자문위원으로 신약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며 “녹는 빌리루빈 합성에도 성공해 생산단가를 10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고 했다.
항암제전달시스템(DDS)에 활용될 가능성도 열렸다. 분자 구조가 바뀐 녹는 빌리루빈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 단단한 공 모양으로 뭉쳐진다. 여기에 항암제를 넣으면 타깃 부위까지 항암제를 전달할 수 있다.
김 대표는 빌릭스를 바이오 드림팀으로 꾸렸다. 직원은 4명에 불과하지만 이들의 신약개발 업력은 71년에 이른다. 그는 “한국이 낳은 최대 글로벌 바이오 기업이 되는 게 목표”라며 “7~8년 안에 약이 개발되면 가치를 나눌 수 있는 재단을 세워 신약 접근성이 떨어지는 사람을 돕고 싶다”고 했다.
빌릭스는 올해 7월 엔젤투자자 등으로부터 25억원을 투자받은 데 이어 11월 말 에스텍파마로부터 20억원을 투자 유치했다. 2023년 상장하는 게 목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