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278622.1.jpg)
이번에 인도된 글로벌호크는 23일 오전 5시께 경남 사천 공군기지에 도착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고조된 2011년 3월 정부 간 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글로벌호크를 미국에서 구매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8년 만에 완성품이 한국에 온 것이다.
미국 방산 업체 노스롭그루먼이 제작한 글로벌호크는 20㎞ 상공에서 특수 고성능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통해 지상 30㎝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42시간까지 비행할 수 있다. 작전 반경은 3000㎞에 달해 북한뿐 아니라 한반도 밖까지 감시할 수 있다. 주야간은 물론 악천후 기상에서도 지상을 감시할 수 있는 특수 고성능 레이더를 장착했다. 적외선으로 미사일 발사를 포착할 수 있고 직접 요격도 가능하다.
군 당국은 글로벌호크 도입으로 미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온 북한 내륙의 영상정보를 독자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군의 영상정보 수집 가능 범위는 평양 이남까지로 알려졌다. 공군은 이달 1호기를 시작으로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2~4호기를 도입하고, 글로벌호크의 영상판독 처리체계 등도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글로벌호크 4대를 도입하는 데만 8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2023년까지 군 정찰위성 5기까지 전력화되면 감시·정찰 능력은 더욱 배가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글로벌호크 도입이 비공개로 이뤄진 데 대해 ‘북한 눈치 보기’라는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공군은 “차세대 전투기와 달리 정찰·감시 자산은 공식 행사에 공개하거나 별도의 전력화 행사를 하지 않는다”고 했다.
임락근 기자 rkli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