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도 삼성 LG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외 대기업은 여전히 노년층보다는 ‘밀레니얼 세대’(1981~1996년 출생)의 마음을 잡는 데 더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이들이 가정 내 구매 결정권을 갖고 있어서다.
돈을 가진 60~70대 부모들이 필요한 물품을 살 때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고 정보 검색에 능한 밀레니얼 세대 자녀들의 도움에 의존한다는 얘기다. 최신 소비 트렌드에 민감하고 각 제품의 장단점에 대한 비교 검색을 잘하는 ‘젊은 자녀’들의 조언이 부모들의 제품 선택에 결정타 역할을 한다는 것. 가족 모임을 위한 식당을 예약할 때도 마찬가지다. 발 빠른 기업들이 벌써부터 밀레니얼 세대의 뒤를 잇는 ‘Z세대’(1997~2012년 출생) 공략에 나선 것도 이런 트렌드를 읽었기 때문이다.
이런 모습은 최근 IBM기업가치연구소가 전 세계 13~21세 1만5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도 나타났다. 이들은 부모가 식음료(77%·복수응답), 가구(76%), 생활용품(73%), 여행상품(66%) 등을 구입할 때 영향을 미쳤다고 답했다. “고령화 시대가 와도 젊은 층부터 사로잡아야 한다”는 얘기가 산업계에서 나오는 이유다.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은 “은퇴자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는 1958~1960년생들은 가전제품 등을 구매할 때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딸’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며 “기업들이 고령화 현상을 단순화해 ‘노심(老心) 잡기’에만 골몰하면 낭패를 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통업계는 최근 50~60대의 면세점 소비가 늘고 온라인 주문이 확대된 것도 ‘딸의 구매’로 해석한다. 부모의 해외여행이나 출장에 맞춰 자녀가 온라인으로 면세물품을 구매한 게 50~60대의 소비로 잘못 해석됐다는 것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건강이나 개인 취미 분야 등 노인들이 직접 관심을 갖는 분야를 제외하면 젊은 자녀 세대의 ‘입김’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