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체 제조업 재고율은 117.9%다. 1998년 9월(122.9%) 후 최고치를 기록한 뒤 줄곧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재고율은 매달 말 기준으로 기업이 창고에 쌓아놓은 재고량(생산자제품 재고지수)을 한 달간 시장에 내보낸 출하량(생산자제품 출하지수)으로 나눠 계산한다.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니 기업은 전기요금과 인건비라도 아끼기 위해 가동을 줄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올해 1분기 71.8%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66.5%) 후 가장 낮았다. 올 2~3분기에는 가동률이 소폭 올랐지만 73%를 웃돌던 2015~2018년 연평균 가동률 수준에는 여전히 못 미쳤다.
재고율 상승과 가동률 하락이 심화되자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줄였다. 이미 생산한 물건도 창고에 쌓이는 마당에 미래 대비를 위한 설비를 새로 들이기는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설비투자는 올해 내내 감소했다. 지난 10월 통계를 보면 기계류(-4.0%) 운송장비(-7.1%) 등 제조업 관련 투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인적 투자인 고용도 급감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4월 감소로 전환한 뒤 지난달까지 20개월 연속 줄었다. 역대 최장 기간 감소다.
제조업 불황의 가장 큰 이유로는 대내외 여건 악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수출 부진 등이 꼽힌다.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기업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교역이 둔화하면서 대(對)중국 의존도가 큰 한국이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 수출은 지난해 12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번달에도 줄어 13개월 연속 감소가 확실시된다.
규제 일변도의 산업 정책도 제조업 경쟁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거론된다. 최저임금과 법인세율 인상,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 등으로 경영 비용이 급격히 오른 것도 제조업체들을 위축시켰다는 분석이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