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화웨이에 대한 정부 보조금과 금융회사의 신용 제공, 세금 감면, 토지 서류 등을 분석해 이같이 보도했다. WSJ는 정부의 산업 육성은 세계 각국에서 일반적이지만, 25년 이상 이어진 세금 면제 등 화웨이에 대한 중국의 지원은 둘의 관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WSJ에 따르면 지원 액수 중 460억달러는 금융 지원이다. 1988년부터 20년간 중국수출입은행(EIBC) 등으로부터 300억달러 규모의 신용 한도를 제공받았다. 또 수출금융과 대출 등으로 150억달러가량을 쓸 수 있었다.
기술 개발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2008~2018년 약 250억달러의 세금을 내지 않았고, 2014~2018년에는 16억달러의 보조금을 받았다.
화웨이가 밝힌 2014~2018년 5년간 받은 보조금 16억달러는 통신장비 업계 2위인 노키아가 핀란드 정부로부터 받은 비슷한 보조금의 17배에 달한다.
WSJ는 화웨이에 대한 지원이 양으로 잴 수 없는 부분에서도 이뤄졌다고 분석했다. 1999년 화웨이 본사가 있는 선전 정부는 세금 탈루 혐의를 받던 화웨이를 위해 이례적으로 개입했다. 리쯔빈 선전 시장이 당시 우방궈 부총리를 찾아가 화웨이 측의 어려움을 설명한 것이다. 그로부터 몇 주 뒤 화웨이 문제는 깨끗이 무마됐다.
중국 정부는 화웨이의 해외 진출도 도왔다. 2009년 파키스탄이 수도 이슬라마바드에 감시시스템을 설치할 때 중국 정부는 화웨이를 선택한다는 조건으로 20년간 연 3% 금리로 1247억달러의 차관을 제공했다. 화웨이는 입찰 없이 공사를 따냈다.
WSJ의 보도는 화웨이가 중국 정부와 직접 연관돼 있다는 미 정부 시각을 뒷받침한다. 미 상무부는 지난 5월 화웨이와 관계사를 블랙리스트에 올려 미국 기업과의 거래를 제한하고 있다. 당초 화웨이 제재 문제는 미·중 1단계 무역 합의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제외됐다.
미 정치권에선 화웨이 문제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만큼 협상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각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단계 협상 때 지렛대로 쓰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번 합의에서 뺐다고 보고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