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 지난 10월 수립한 ‘중기 경영목표’(2020~2024년)에 따르면 월성1호기를 해체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투입된다. 우선 해체계획서를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하는 데까지 5년가량 시간이 소요된다. 투입 인력과 기술, 비용 등을 꼼꼼하게 따져야 해서다.
원안위 심사를 통과하기까지 또 2년 이상 걸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핵연료 냉각과 반출, 시설물 해체, 부지 복원 등 실제 해체 작업에 나서는 건 그 이후가 될 것이란 얘기다. 업계에선 해체 작업에만 추가로 10년가량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 영구정지 결정을 내렸던 고리1호기는 아직도 해체계획서 초안을 작성 중이다.
상당한 비용도 불가피하다. 원자력업계에서 추산하는 월성1호기 해체 비용은 최소 7000억원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원전을 운영하면서 매년 발전 수익의 일부를 해체 비용으로 별도로 적립해왔다”며 “원전 1기에 약 7515억원이 쌓여 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의 해체 충당금은 해외 사례들을 종합해 2년마다 재산정하기 때문에 향후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월성1호기를 국내 기술로만 해체할 수 없는 점도 문제다. 원전 해체에 필요한 핵심 기술 58개 중 13개(22.4%)를 아직 개발하지 못해서다. 신규 원전의 건설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고급 인력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어 관련 전문가들이 더 부족해질 수 있다는 게 원자력업계의 걱정이다.
정용훈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월성1호기는 모두 최신 부품으로 교체한 상태여서 적어도 2060년까지는 안전 운전이 가능했다”며 “이 원전을 비(非)경제적 논리로 영구 정지했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