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317537.1.jpg)
쥐는 인간과 가까이 있지만 친하지 않은 동물이다. 유익하지도 않다. 곡식을 비롯한 음식을 훔쳐 먹고 날카로운 앞니로 기둥이며 가구를 쏠아 못쓰게 만든다. 생김새도 예쁘거나 귀엽다고 할 수 없다. 행동은 얄밉고 경박스러우며 병도 옮긴다. 이런 쥐가 띠 동물의 으뜸이 된 것은 옥황상제가 주최한 달리기 시합에서 부지런한 소의 잔등에 몰래 타고 있다가 결승선에서 폴짝 뛰어내려 1등을 차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쥐는 지구상에 가장 널리 퍼진 동물이다. 약 3600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해 220속 1800여 종으로 분화할 만큼 번성했다. 검은쥐·흰쥐·노란쥐·집쥐·야생쥐·물쥐·시궁창쥐·다람쥐·박쥐·땅쥐 등 다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번식력이 엄청나서 한 쌍의 쥐가 1년 동안 불어나는 수가 2400마리나 된다고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21323895.1.jpg)
쥐는 영리하고 부지런하며 저축성도 높다. 그래서 십이지신상의 하나로 능묘와 탑, 생활용품 등에 새겨졌고, 신사임당의 초충도에도 등장한다. 영화에서 지진이나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앙을 예고할 때 흔히 나오는 ‘쥐떼 장면’은 쥐의 예지력을 보여주는 사례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는 속담은 쥐의 ‘정보통’ 캐릭터를 대변한다. 쥐는 보기와 달리 배울 점이 많은 동물이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