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심’ 빈자리 메우려 특단 조치
청와대는 이날 국정기획상황실장 업무를 기획비서관과 국정상황실장으로 분리하는 등의 청와대 조직개편 내용을 발표했다. 고민정 대변인은 “현행 3실장·12수석·49비서관 체제를 유지하되 업무분장 효율화를 위해 일부 비서관의 업무·소속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윤 전 실장이 맡았던 국정기획상황실은 기획비서관과 국정상황실로 분리했다. 윤 실장의 존재감이 상당했던 만큼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사람이 맡던 역할을 쪼개는 셈이다. 신임 기획비서관은 오종식 연설기획비서관이 맡아 국정운영 기조와 아젠다 설정 등을 담당한다. 국정운영실장에는 이진석 정책조정비서관이 임명됐다.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 출신으로 사회정책, 정책조정비서관 등을 거친 이 실장은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요직에 발탁되고 있다. 비서관급 이상 참모 가운데 문재인 정부 최장수 참모로도 꼽힌다.
윤 전 실장은 총선 출마 채비에 나섰다. 그는 “이제까지와 무척 다르게 저 스스로를 온전히 세우는 일”이라며 “겸손하지만 뜨겁게 시작하겠다”고 소회를 밝혔다. ‘복심’으로 불려온 무게감 탓에 출마지는 당에 일임했다. 불출마를 선언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지역구인 서울 구로을이 유력하다는 게 당 내부의 관측이다.
곳곳에 ‘총선 땜질’ 조정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대외전략인 신남방·신북방정책을 담당할 비서관 직제도 신설해 박진규 통상비서관에게 맡겼다. ‘통상’ 기능은 기존 산업정책비서관실로 이관됐고 명칭도 산업통상비서관실로 바뀌었다. 이번 개편은 신남방정책을 이끌어온 주형철 경제보좌관이 임명 10개월 만에 총선 출마 결정을 내린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주 보좌관은 이날 청와대에 공식 출마 의사를 밝혔다. 출마 지역은 대전 동구가 유력하다. 대통령 경제보좌관이 청와대에 입성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총선행을 택하면서 청와대 안팎에서는 곱지 않은 시선도 상당하다. 첫 기업인 출신 경제보좌관 타이틀이 무색해졌다는 평가와 함께 내부에서는 경제보좌관 ‘무용론’마저 나온다. 일자리기획비서관은 조정 기능을 더해 일자리기획·조정비서관으로 개편됐다. 이 역시 이진석 정책조정비서관이 국정상황실장으로 이동한 연쇄 작용이다.
‘소부장’, 안전 담당관도 신설
정부 후반기 국책과제를 전담할 조직도 추가됐다. 과학기술보좌관 산하에 디지털혁신비서관을 신설, 인공지능(AI)·5G(5세대) 등 혁신성장 부문에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이 자리에는 양환정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상근부회장과 조경식 방송통신위원회 사무처장 등이 거론된다. 임명 전 조직 신설을 발표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 때문에 윤 전 실장 등 청와대 참모들의 총선 계획에 맞춰 설익은 조직 개편안이 발표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개편을 통해 선임 행정관급 국장이 맡는 국민생활안전담당관, 소재·부품·장비산업담당관, 방위산업담당관 등도 새롭게 꾸렸지만 자리는 공석 상태다.
고 대변인의 출마 여부도 이날 발표되지 않았다. ‘대통령의 입’인 대변인이 출마를 놓고 고민이 길어지면서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여당에서는 아나운서 출신으로 인지도가 높은 고 대변인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정치 이력이 짧은 고 대변인은 막바지까지 고심을 거듭하며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고 대변인의 출마지로는 불출마를 선언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지역구인 경기 고양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인지도가 곧장 ‘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선거 특성상 막바지 변수도 배제할 수 없다.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서는 오는 16일까지 공직에서 사퇴해야 한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