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경북대 경영학부 교수(성공경제연구소 이사장·사진)는 14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성공경제포럼 특강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교수는 “4차 산업혁명으로 산업 간 경계가 희미해지고 인간 감성과 편리함에 소구하는 신사업이 속출하고 있다”며 “그런 환경에서 음악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K팝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교수는 “K팝이 실제로 한국 문화산업을 수출 주력 품목으로 끌어올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한국수출입은행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문화콘텐츠 수출액은 75억달러로 가전(72억2000만달러)을 추월했다. 음악 콘텐츠 수출도 2017년 3억8000만달러에서 2018년 5억6000만달러로 늘었다. 이 교수는 음악 콘텐츠의 생산유발 효과에 주목했다. 그는 “75억달러의 문화콘텐츠 수출에 의한 생산유발 효과는 365억달러(약 40조2000억원)에 달한다”며 “이 중 음악 수출 1달러는 약 17.7달러의 소비재 유발효과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K팝의 성공이 어느 날 갑자기 이뤄진 게 아니라 ‘체계적 혁신의 산물’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20년간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을 비롯한 박진영, 방시혁, 양현석, 이호연 프로듀서 등 창의적 프로듀서 혁신가들이 예술에 생산·유통·소비라는 제조업의 혁신 개념을 접목하면서 K팝이라는 차별적 음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이들이 K팝의 혁신성과를 이뤄낸 비결로 세 가지 공통적인 전략을 꼽았다. 첫 번째는 인재를 발굴하는 캐스팅부터 콘텐츠를 제작하는 프로듀싱과 유통하는 마케팅까지 컨베이어벨트처럼 아이돌 그룹을 배출하는 모든 과정을 한 기업 안에서 통합·운영해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두 번째는 음악 콘텐츠를 기반으로 광고, 예능, 드라마 및 영화 등 다른 장르와 미디어에 진출하며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화’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음악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를 글로벌 차원으로 확장하는 ‘세계화’다.
이 교수는 K팝의 혁신 모멘텀을 유지·확대하기 위해서는 “1세대 프로듀서 혁신가들의 성공을 뛰어넘어 글로벌 수준의 혁신적 콘텐츠를 창출하는 2세대 프로듀서 혁신가들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건전한 산업 생태계와 제도적 여건을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