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한국대사관 터 사준 신격호 회장…애국심 남달랐죠"

입력 2020-01-21 17:35   수정 2020-01-22 03:30

세상을 떠난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 빈소에는 21일에도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구광모 LG그룹 회장,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과 정용진 부회장, 김범석 쿠팡 대표 등 경영계 주요 인사와 송철호 울산시장 등 정계 인사들이 빈소를 찾아 고인을 추모했다.

이들 중에는 권익부 전 롯데중앙연구소장(80·사진)도 있었다. 그는 신 명예회장이 일본에서 사업을 일으킨 뒤 1965년 처음 한국으로 건너왔을 때 롯데에 입사한 한국 롯데 공채 1기다. 그를 만나 고인에 대한 얘기를 들어봤다.

권 전 소장은 “신 명예회장은 사업 기회를 포착하는 눈이 누구보다 탁월했다”고 했다. 롯데가 1970년대 말 석유화학사업에 진출한 것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그는 “당시 이란 정부가 무너지자 한국 정부는 석유화학 투자를 접기로 했다. 한국이 이란에 투자한 220억달러를 다 날릴 상황이었다. 신 명예회장은 반대로 이때 한국이 석유화학을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에서 생수가 많이 팔릴 때 신 명예회장은 물값이 20원이고 용기가 40원 하니 용기를 한국에서 제조해 일본에 수출하면 큰돈을 벌 수 있다고 말하곤 했다”고 했다.

롯데의 첫 석유화학 제품은 플라스틱 옷걸이였다. 권 전 소장은 “고인이 된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와이셔츠를 수출하기 위해 필요하다며 롯데에 요청했다”고 했다.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신 명예회장의 판단은 들어맞았다. 40여 년이 흐른 지금 석유화학은 롯데그룹에서 이익을 가장 많이 내는 캐시카우가 됐다.

부동산에 대한 각별한 안목을 보여주는 일화도 소개했다. “신 명예회장은 주변에 한 평이라도 좋으니 명동 땅을 사라고 말했다. 누가 봐도 오를 수밖에 없는 땅은 사 두면 큰돈이 된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 땅 가운데 한 곳이 서울 서초동 롯데칠성 공장 터라고 권 전 소장은 전했다.

사업 기회를 놓친 것에 대한 아쉬움도 컸다고 한다. 화장품 사업이 그랬다. 신 명예회장은 1947년 일본에서 껌 사업과 화장품 사업을 같이했다. 이후 껌 사업이 커지면서 1년 만에 화장품 사업을 접었다. 껌 주문이 폭주해 사업을 함께할 여력이 없었다. 당시 롯데의 화장품 사업 규모는 시세이도와 비슷했다. 권 전 소장은 “1980년대 중반 신 명예회장이 ‘그래도 화장품을 계속했어야 했어’라고 몇 번을 말하며 아쉬워했다”고 했다.

애국심은 신 명예회장을 설명하는 또 다른 키워드였다. “1964년 도쿄올림픽이 열리기 직전에 신 명예회장이 다른 사업가들과 함께 주일 한국대사관 땅 4960㎡를 사줬다”고 했다. “인부들과 함께 대사관에 나무까지 심어줬다”고 말했다.

그는 권투 세계 챔피언에 오른 홍수환 씨와 신 명예회장의 인연도 전했다. 1978년 홍씨가 챔피언 방어전에서 일본인을 때려눕히자 곧바로 그를 보자고 했다고 한다. “신 명예회장이 홍씨 주먹을 보고 ‘이게 일본 선수를 때려눕힌 주먹이냐’며 감탄했다. 그는 ‘나는 한국 사람’이라는 말은 잘 안 했지만, 이런 식으로 애국심을 표현하곤 했다”고 덧붙였다.

안효주/오현우 기자 ahnjk@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