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AA.21710055.1.jpg)
바이오테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두뇌다. 약물이 신체와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해하고 변형시켜 개량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미국 등 선진국 대학이나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 연구 개발 과정에 참여하면서 배울 수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로슈,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에서 신약을 개발했던 중국인 연구원들이 본국으로 돌아와 창업에 나선다. 중국 투자자들은 이 같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분야는 ‘유전자(DNA) 시퀀싱’이다. 세계에서 DNA 시퀀싱을 가장 잘하는 회사로 미국 일루미나가 꼽힌다. 이 회사는 빠른 속도로 정확하게 DNA 염기 서열을 읽어낼 수 있는 ‘브리지 PCR(Bridge PCR)’이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정도 수준의 시퀀싱 장비를 만들어내는 회사는 국내에 없으며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다. 그런데 중국 BGI제노믹스(BGI Genomics)란 회사가 비슷한 기술을 갖고 있다. 20여 년 전 미국에서 연구하던 대학원생이 중국에 돌아와 창업한 BGI제노믹스는 현지 투자를 받아 크게 성공했다. 이후 미국 컴플리트제노믹스도 인수해 고속 시퀀싱 기술을 내재화할 수 있게 됐다.
바이러스 백신 분야도 크게 앞서나가고 있다. 중국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에서 세계 선두권을 달리고 있다. 현재 중국 내 백신 3상을 진행 중이며 연내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개발사인 칸시노(CanSino)는 사노피 파스퇴르사의 연구진이 중국에 돌아와 창업한 회사다. 에볼라 외에도 뇌수막염, 폐렴, 인플루엔자 백신 등도 개발 중이다.
미국 GE, 독일 지멘스 등 선진국이 독주하던 의료장비 분야에서도 추격 속도가 빠르다. 중국 선전의 마인드레이(Mindray)는 거대한 내수 시장에 힘입어 저가 장비 시장에서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음성인식이 지원되는 초음파 영상장비 등 정보기술(IT)이 결합한 신제품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이들 기업은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과연 얼마나 효과적인 장비와 서비스를 빠르게 병원 및 진료소에 전달해 줄 수 있을지 관건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