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감염이 걱정스러운 것은 무증상 감염자들과 일반 감기쯤으로 여기고 지내는 감염자들이 이미 곳곳에 퍼져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다. 정부가 어제 “(중국 방문과 확진자 접촉이 없는) 환자가 늘어날 수 있어 ‘코로나 사태’가 새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방역의 고삐를 보다 단단히 죄어야 한다. 일본에서 중국에 이어 코로나19 확진자가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한 것은 지역사회 감염을 초기에 방치했기 때문이다.
중국 및 일본과의 교류가 활발한 우리나라는 한시도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 공항·항만 방역을 강화해 외부 전염원을 차단하고, 지역사회 감염자들을 조기에 찾아내 이들이 2~3차 감염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중국 내 입국금지 지역을 환자 발생이 많은 저장성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7만여 명에 이르는 중국 유학생 관리도 시급하다. 정부는 방역 인원과 기숙사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대학에만 중국 유학생 관리를 떠넘기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19는 감염을 조기에 차단하면 통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지난 주말 신규 환자가 나오지 않자 마스크 미착용자가 느는 등 긴장이 이완된 게 사실이다. 정부가 “(코로나19가) 잘 통제되고 있다”고 섣부른 낙관론을 펴 국민의 경계심을 느슨하게 한 측면도 있다. 과도한 공포로 국민들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아서도 안 되겠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될 때까지 정부 국민 모두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