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수 아시아나항공 사장은 18일 임직원에게 보낸 담화문에서 “우리 회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막대한 영업적자를 기록할 위기상황에 직면했다”며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했다. 이어 “현재 위기를 반드시 헤쳐나가겠다는 의지를 모아 전 임원이 사표를 제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 경영진은 경영 환경 악화에 따른 고통을 분담하기 위해 직급에 따라 최대 40%의 급여를 반납할 계획이다. 또 기존에 일반직 직원에게만 적용했던 10일간 무급휴직 대상을 정비직, 승무원 등 전 직종으로 확대 시행할 방침이다.
아시아나항공이 비상경영을 선포한 가운데 한 사장의 아들 두 명이 아시아나항공에 입사한 사실이 알려지며 특혜 논란이 거세게 일고 있다. 직장인 익명 게시판 앱인 블라인드에 따르면 한 사장의 첫째 아들은 지난주 운항부문 직원(면장운항인턴)으로 입사했다. 둘째 아들도 2017년 일반관리직으로 아시아나항공에 들어왔다. 한 직원은 블라인드에 “둘째 아들을 일반직으로 취업시키고 그것도 모자라 카드회사에 다니던 첫째 아들까지 운항 인턴으로 급하게 일정을 당겨가며 채용했다”고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
항공업계는 경영난 심화로 국내 항공사 총 8개 중 6개가 무급휴직을 시행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LCC) 진에어도 지난 17일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최소 1주일에서 최대 12개월까지 무급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