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AA.21888226.1.jpg)
관가에서는 박 장관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함께 문재인 정부 출범 때부터 함께한 ‘최장수 장관’이 될 수 있던 배경으로 문재인 대통령과의 인간적 유대를 꼽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경기대 등에 30년 넘게 몸담은 그는 학계의 대표적인 ‘친노(친노무현) 인사’로 분류된다. 노무현 정부 출범과 함께 복지부 규제심사위원장, 고령화사회위원회 위원,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위원 등 공직을 줄줄이 맡았다. 박 장관의 부친이 노 전 대통령의 초등학교 은사였던 인연으로 청와대에서 따로 식사 자리를 함께하기도 했다.
시중에 판매된 적이 있는 박 장관의 주요 저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년 뒤 나온 《10권의 책으로 노무현을 말하다》(공저)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2/AA.21890169.1.jpg)
그가 장관을 맡은 뒤 복지부 정책에도 힘이 실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복지부 관계자는 “박 장관의 존재감이 과거 복지부를 거쳐간 정치인 출신 장관보다 크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그만큼 청와대의 신뢰를 받는 것 같다”고 했다. 총선 이후로 예상되는 개각에서 살아남으면 문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무리수를 둔 게 오히려 독이 된다는 분석도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요즘 박 장관이 평정심을 잃고 하지 않아도 될 말을 굳이 해 문제를 일으키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며 “정부 안팎에서 ‘박 장관이 단상이 올라가면 조마조마하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황급하게 전날 발언과 관련해 해명에 나섰다. 그는 이날 대구에서 기자들과 만나 “코로나19 확산 원인이 ‘중국에서 들어온 한국인’이라고 한 건 처음 코로나19가 국내에 유입될 때 그랬다는 의미”라며 “우리 국민이 감염의 주된 원인이라는 뜻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