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3/AA.21934623.1.jpg)
강순희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사진)은 지난달 24일 제9대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에 취임하자마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한 긴급 점검 및 대응으로 취임식을 대신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3/AA.21934727.1.jpg)
근로복지공단은 산재노동자에 대한 맞춤형 재활서비스 제공 및 공단 취업전담조직인 재활지원팀 운영을 통해 지난해 산재노동자 직업복귀율이 전년보다 3.2%포인트 개선된 68.5%를 달성했다. 일하다 다친 노동자 10명 중 7명이 다시 일터로 복귀한 셈이다. 직업복귀율은 2017년 63.5%, 2018년 65.3% 등을 기록했다.
공단은 산재노동자가 치료 후에 안정적으로 다시 일터에 복귀할 수 있도록 개인별로 맞춤형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요양 초기부터 제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재활인증병원에서 집중재활치료를 제공하고, 산재관리의사가 초기 치료 단계부터 직업 복귀까지 전 과정에 직접 개입해 최상의 의료재활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사업주가 산재노동자 치료 중에 대체인력을 고용하면 임금의 50%를 지원하고, 산재장해인(장해 1~12급)을 원직장에 복귀시켜 고용을 유지하면 직장복귀지원금을 통해 원직장 복귀를 돕고 있다.
원직장에 복귀하지 못한 산재노동자에게는 공단 취업전담조직인 권역별 재활지원팀에서 직업훈련, 취업설명회, 취업성공패키지 및 민간취업전문기관 연계 등을 통해 일터 복귀를 지원하고 있다.
공단은 올해도 산재노동자의 직업복귀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한다. 산재노동자 치료 중 대체인력을 채용하면 신규 고용인력 임금의 50%를 지원하는 대체인력지원금 지원대상 사업장을 1월부터 기존 20인 미만 사업장에서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확대했다.
산재장해인(장해 1~12급)을 원직장에 복귀시켜 고용을 유지하는 사업주에게 지급하는 직장복귀지원금은 13년 만에 1~3급 60만원→80만원, 4~9급 45만원→60만원, 10~12급 30만원→45만원 등으로 인상했다.
공단은 올해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재노동자에게 최적의 재활서비스를 추천하는 ‘지능형 재활 지원시스템’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산재노동자의 나이 및 상병, 상병부위, 장해정도, 직종, 고용형태, 임금 등을 분석해 직업복귀 취약 정도를 판단, 11만여 명의 산재노동자에게 직업복귀에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강 이사장은 “산재노동자에게 최적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해 직업복귀율을 선진국 수준인 70%대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