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5일까지 원격수업 체제 구축
교육부는 25일 서울 여의도동 교육시설공제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원격교육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사진)은 “원격수업을 학교의 수업일수 및 시수로 인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감염증 상황에 따라 등교 개학과 온라인 개학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3차 휴업이 끝나는 다음달 6일부터 전국의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원격수업을 할지, 감염병 확산 정도를 고려해 지역별로 다른 기준을 둘지 등은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원격수업 카드까지 꺼내든 만큼 추가적인 개학 연기는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교육부는 우선 다음달 5일까지 시·도교육청과 협력해 각 학교의 원격수업 체제 구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은 학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내놓을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온라인 수업을 법정 수업일수 및 시수로 환산하는 기준 등은 이른 시일 안에 마련해 배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안정적인 원격수업 시행을 준비하기 위해 원격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운영하기로 했다. 학교별 대표교원과 원격교육 담당 장학사 등이 참여하는 ‘1만 커뮤니티’를 개설해 원격교육 운영방법을 공유하고, 애로사항도 수렴할 예정이다. 원격수업이 본격화될 것을 대비해 e학습터와 EBS온라인클래스 서버도 증설한다. 교육부는 이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EBS와 원격교육 지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교육부, 실현 가능한 대안 마련해야”
교육계에서는 초·중·고교의 모든 수업을 당장 온라인 강의로 차질 없이 진행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관련 인프라가 부족하고 체계도 잡혀 있지 않기 때문이다. 초·중·고에 앞서 지난 16일께부터 온라인 개강을 시작한 대학들도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서버가 다운돼 실시간 강의를 제시간에 듣지 못하거나 강의가 끊기는 일이 여러 대학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수업의 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쌍방향 원격강의를 할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대부분의 수업이 과제로 대체되거나, 기존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소득 격차가 학습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이 없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원격수업을 듣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2018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월 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가구는 95.5%가 컴퓨터를 보유했지만,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인 경우 42.9%, ‘100만원 미만’ 가구는 16.2%만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교육청과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소외 학생에게 대여해주는 제도를 확대 시행해 정보격차를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교원단체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조성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대학도 대혼란을 겪는 마당에 초·중·고교의 온라인 개학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의문스럽다”며 “교육부는 이상적인 목표를 선언하기보다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실현 가능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관/정의진 기자 pj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