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한 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지난 2월부터 실물경제에 충격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생산·투자·소비 등 3대 지표는 일제히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비자들이 외출하지 않고 집에 머물고 생산활동도 줄이면서 서비스업 생산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소비는 구제역 파동이 있던 2011년 이후 가장 많이 줄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3월에는 지표가 더 악화됐을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2월 전(全)산업생산은 1월 대비 3.5% 감소했다. 2011년 2월(-3.7%) 후 9년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산 부품 수급에 어려움이 생긴 자동차 생산이 27.8% 급감했다. 자동차업계 대규모 파업이 있었던 2006년 7월(-32.0%) 후 13년7개월 만에 감소폭이 가장 컸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동차산업은 전후방 연관 효과가 커 기계장비·전기장비 생산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기계장비 생산은 5.9%, 전기장비는 9.0% 줄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0.7%로 전월 대비 4.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09년 3월(69.9%) 후 10년11개월 만의 최저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3.5% 줄었다. 감소폭은 2000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외출 기피의 결과로 숙박업(-23.6%) 음식업(-15.9%) 등이 타격을 받았으며 여행 자제의 여파로 항공여객(-42.2%) 철도운송(-34.8%) 여행업(-45.6%) 등에서도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4.8% 줄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15.4%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6.0% 줄었다. 감소폭이 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 2011년 2월(-7.0%) 후 가장 컸다. 의복과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17.7%)가 많이 줄었고, 자동차 등 내구재(-7.5%), 화장품 등 비내구재(-0.6%) 판매까지 모두 감소했다.
이번 산업활동동향 조사에는 2월 1일부터 24일까지의 자료가 반영됐다. 한국에선 2월 18일이 코로나19 분기점으로 꼽힌다. 이날 첫 신천지 확진자가 나왔으며 확진자 수도 31명에서 51명으로 갑자기 뛰었다. 이후엔 급격하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2월 동향에는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이 일부만 반영됐기 때문에 3월 마이너스 수준은 예상을 뛰어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하지 않은 2월 지표만 해도 충격적”이라며 “3월 지표의 감소폭은 훨씬 더 클 수 있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특히 투자는 지난해 많이 감소했음에도 여전히 큰 폭으로 줄고 있다는 게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한국보다 먼저 코로나19 사태를 겪은 중국은 확진자가 급증한 시기에 생산·투자·소비 지표가 모두 두 자릿수 감소했다. 중국은 확진자가 급증세였던 1~2월 산업생산이 1년 전에 비해 13.5% 급감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소비(-20.5%) 투자(-24.5%)는 20%가 넘는 감소율을 보였다.
기업인이 느끼는 3월 체감경기는 이미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했다.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자료를 보면 3월 전 산업의 업황 BSI는 전달에 비해 11포인트 내린 54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월(52) 후 가장 낮았다. 3월 하락폭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이후 최대다.
반도체산업협회, 자동차산업협회, 건설협회 등 10개 주요 업종 협회는 지난 1월 말부터 3월 24일까지 소속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5%, 영업이익은 19.0%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유환익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정책실장은 “한시적 규제 유예 제도 도입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태훈/성수영/황정수 기자 bej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