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인 70만1000개의 일자리가 지난달 미국에서 사라진 것으로 발표됐으나 실제 실업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크다고 로이터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노동부가 지난 3일 발표한 고용 통계의 조사 시점이 지난달 초여서 3월 중순 이후 실직 현황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업률은 2월 3.5%에서 지난달 4.4%로 높아졌다. 상승폭 0.9%포인트는 1975년 1월 이후 최고치다.
특히 레저 및 숙박 업종의 고용이 급격히 쪼그라들었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지난달 이들 업종에서 사라진 일자리만 45만9000개였다. 전체 실업자의 65%에 달하는 규모다. 이 가운데 식당과 술집 실업자가 41만7000명에 달해 가장 심각했다.
인종별로 보면 아시아 및 라틴계 근로자의 타격이 가장 컸다. 지난달 이들의 실업률은 각각 전달 대비 1.6%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흑인과 백인 근로자 실업률은 각각 0.9%포인트 높아졌다.
일자리를 잃는 여성도 빠르게 늘고 있다. 남성 근로자의 실업률은 2월 대비 0.7%포인트 증가한 데 비해 여성 실업률은 0.9%포인트 높아졌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숙박 및 교육 업종에 종사하는 여성 근로자 비중이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일자리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근로자의 실업률은 14.3%로, 전달보다 3.3%포인트 증가했다. 20~24세 근로자의 실업률은 2.3%포인트 증가해 8.7%가 됐다. 1953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학력 수준이 낮은 근로자의 실업률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중졸 이하 근로자의 실업률이 한 달 새 1.1%포인트(5.7%→6.7%) 높아졌다. 대졸자 실업률은 같은 기간 0.6%포인트 증가했다. 역시 미 노동부가 학력별로 고용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