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랩에 따르면 피싱 공격자는 국내 유명 포털 계정으로 온라인 카페에 연예인 음란 동영상을 위장해 게시글을 작성했다. 특히 제목에 “연예인 A와 B 부적절한 관계” “국내 유명 가수 C, 이럴 수가… 완전 망신” 등 유명 연예인의 실명을 언급하고 본문에는 자극적인 이미지를 포함하는 방식이다.
본문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음란 동영상 플레이어를 위장한 피싱 사이트로 연결된다. 해당 피싱 사이트 내 동영상 플레이어의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화면과 비슷한 가짜 로그인 페이지가 열린다. 사용자가 자신의 포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 계정 정보가 피싱 공격자에게 전송된다.
안랩은 이런 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의 게시물 내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URL) 실행 금지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 자제 △사이트별로 다른 아이디·비밀번호 사용 △V3 등 백신 프로그램 최신 버전 유지 및 피싱 사이트 차단 기능 활성화 등의 원칙을 제시했다.
박태환 안랩 ASEC대응팀장은 “온라인에서 선정적인 소재를 활용한 개인정보 탈취는 꾸준히 발생했다”며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로 온라인 비대면 소통이 많아진 요즘엔 사용자의 기본 보안수칙 준수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