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여전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시장이 얼어붙은 뒤 신용등급 A 이하의 여전사들은 대부분 신규 발행에 나설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조달비용도 커졌다. 여전채(AA-등급)와 국고채 간 금리 차는 작년 이맘때의 두 배 이상인 0.8%포인트가량으로 벌어졌다. 이달 들어 발행에 성공한 회사는 신한·삼성카드와 KB캐피탈 등 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 금융지주 계열이거나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그룹 등 우량기업을 계열사로 둔 업체다.
여전사들은 정부 주도로 마련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가 여전채를 상대적으로 홀대하고 있다는 불만이 크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조달시장의 ‘마중물 역할’은 나몰라라 하면서 ‘코로나 지원’만 강조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여전사들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이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해 자체적인 상환유예 조치를 시작했다. 피해 자영업자에게 신용대출 원금 및 이자 상환을 최대 6개월까지 미뤄주고 있다. 여기에 가계의 신용대출 상환까지 연장한다면 그만큼 부담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여전업계 관계자는 “유예해줬던 대출의 만기가 속속 도래하는 6개월 후가 진짜 문제”라며 “연체율이 상승하면 쌓아야 할 충당금이 늘고, 조달 사정이 더욱 나빠지는 악순환에 빠질 게 뻔하다”고 했다. 카드사들은 ‘다중채무자’가 60~70%를 차지하는 카드론이 부실화할 경우 2금융권 전체의 연쇄 부실로 이어질지 모른다고 우려한다.
반면 은행권은 피해 가계에 대한 대책에 대체로 순응하는 분위기다. 소득이 일시적으로 줄어든 대출자로 지원대상을 한정할 경우 소상공인 지원대출에 비해 수요가 적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개인별 코로나19 피해 여부를 증명할 수 있는 방안은 엄격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대훈/정소람/박진우 기자 daepu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