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들로 위원장은 지난 10일 폭스TV에 출연한 자리에서 한 참석자가 중국 의존도를 낮출 대책을 묻자 “중국에서 벗어나길 원하는 모든 미국 기업의 이전 비용을 지불하는 방안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경제가 불황에서 탈출하기 위해 민·관 공동으로 일종의 뉴딜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며 “중국에서 돌아오는 기업의 각종 비용을 100% 지원하는 것은 매우 좋은 정책”이라고 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이건 (미국의) 친성장정책 중 하나일 뿐 중국을 괴롭히는 게 아니다”며 “더 많은 미국 기업이 유턴할 수 있도록 일정 시한을 정해 필요한 정책을 내놓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중국 내에 대규모 생산라인을 갖춘 미국 기업이 많지는 않다고 미 경제주간지 포브스가 보도했다. 애플이 대만 다국적 기업 폭스콘의 중국 공장에 휴대폰 생산을 위탁하고 있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식이다 보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후 수요가 급증한 해열·소염제 이부프로펜(의약품)이나 산소호흡기, 의료용 마스크 등의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릴리 팽 프랑스 인시아드 경영대학원 교수는 “국가 안보와 관련 있는 품목은 중국에서 미국으로 생산라인을 옮기려는 흐름이 강해질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미·중 관계가 더 틀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일본 정부는 7일 중국을 떠나려는 자국 기업의 이전을 돕기 위해 총 2435억엔(약 2조717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아 부품·소재 등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