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논설실] 갈고리 도둑과 나라 도둑

입력 2020-04-14 09:20   수정 2020-04-14 09:54


내일이 투표일인데 마음이 편치 않다. 저마다 나라를 구하겠다고 큰소리를 치지만, 행여 이들이 나라를 망치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최선이 아니라 차선, 최악이 아니라 차악을 뽑아야 하는 기로에 설 때 우리는 곤혹스럽다.

앞이 보이지 않을 땐 고전을 펼친다. 《장자(莊子)》 ‘거협(??)’편에 눈길이 머문다.

‘갈고리를 훔친 자는 형벌을 받고 나라를 훔친 자는 제후가 된다(竊鉤者誅 竊國者爲諸侯·절구자주 절국자위제후).’

갈고리(鉤)는 쇠로 된 갈고랑이나 혁대 끝을 끼우는 쇠단추를 뜻하니, 좀도둑이 처벌되는 것과 달리 큰 도적이 국권을 장악하는 걸 비꼰 말이다.

이 ‘큰 도적’은 곡식을 되(升)와 말(斗)로 재게 하면 되와 말을 훔치고, 저울로 달게 하면 저울을 훔치며, 인의(仁義)로 행실을 바로 잡게 하면 인의를 도적질한다. 그뿐만이 아니다. 스스로 성(城)을 구축하기는커녕 남이 애써 쌓아올린 성을 빼앗고 결국에는 그 성에 갇혀버린다.

예나 지금이나 나라를 도둑질 당하지 않으려면 ‘큰 도적’을 경계해야 한다. 방법은 무엇인가. 장자는 ‘모두가 본래의 밝은 눈을 간직하면 천하가 현혹되지 않고, 본래의 밝은 귀를 간직하면 천하가 얽매이지 않고, 본래의 지혜를 간직하면 천하가 미혹되지 않고, 본래의 덕을 간직하면 천하가 치우치지 않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밝은 눈과 귀로 본래의 지혜와 덕을 실천하는 일이 쉽지는 않다. 눈 밝은 사람은 나라 걱정으로 자기 몸을 상하고, 귀 막은 정치인은 자기 걱정 때문에 나라를 망친다. 눈과 귀를 반듯하게 열고 세상 이치를 꿰뚫어 보는 능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정작 눈뜨고 귀 밝은 유권자는 많은데 그런 정치인이 드물다는 게 문제다. 눈을 크게 뜰수록 ‘눈 먼 도적’들만 사방에 가득하니 더욱 씁쓸하다.

국회위원 선거를 앞둔 봄날 아침, 장자의 명구를 인용한 시 한 편으로 안타까운 마음을 달래본다.

4월 장자(莊子) - 고두현

성을 쌓고
문밖은 비워두라.

작은 도둑 경계하여
자물쇠 채웠거늘
큰 도적이 상자
통째로 가져가고
갈고리 훔친 자 죽은 뒤엔
나라 도둑질한 자
제후가 되다니,
저 깊은 산문 첩첩
냇물 마른 빈 골짜기
춤추는 봄나비들아
아아 눈뜨고 귀 밝은 것이
오늘의 슬픔이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