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AA.22403232.1.jpg)
양소영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사진)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불안 자체에 대해 걱정하기보다 불안할 수 있음을 받아들이고 잘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감염병 스트레스가 지속돼 두려움과 공포감이 심하다면 문제다. 불면증이 오랫동안 이어지거나 불안감 때문에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SNS와 뉴스 정보에 지나치게 매몰되는 것도 문제다. 신종 감염병에 대한 정보는 확인된 것이 많지 않아 불확실할 수밖에 없다. 이런 불확실성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사회적 교류와 업무 등의 활동이 제한되면서 외로움, 소외감 등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다. 양 교수는 “화상전화, 메일, 온라인 등을 이용해 가족, 친구, 동료 등과 소통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감염병 상황에서 발생하는 타인에 대한 혐오는 감염 위험이 있는 사람을 숨게 해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특정인과 집단에 대한 인신공격과 신상 노출은 2차 피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했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AA.22402739.1.jpg)
양 교수는 “일상 리듬을 유지하고 기분 전환을 위해 긍정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며 “복식호흡, 명상 등 긴장 이완 활동을 하는 것도 좋다”고 했다. 정신적 고통이 심하다면 국가 트라우마센터 등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의 문을 두드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