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ZN.22272814.1.jpg)
총선 참패 수습 방안을 마련 중인 미래통합당이 조기 전당대회 대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기로 결정했다.
통합당은 22일 오전 10시 최고위원회를 열고 다수 의견에 따라 '김종인 비대위체제 전환'을 결정했다.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은 이날 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상품이 나쁘면 상표도 바꿀 수밖에 없다"며 사실상 당명 개정을 시사했다. 향후 재창당 수준의 고강도 개혁 입장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직 수락여부에 대해 아직 당으로부터 정식으로 (제안을)듣진 못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가면 고생만 하는 자리다. 하도 당 입장이 어려우니 내가 한번 고려해보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당 혁신안에 대해서는 "상품이 나쁘면 상표도 바꿀 수밖에 더 있느냐. 물건이 안 팔리면 그거야 뭐 당연한 얘기"라고 했다.
자신에 대한 당 일각의 부정적 시각에는 "비대위가 하는 대로 순응을 해야지, 이해관계에 맞지 않다고 이러고저러고 얘기하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통합당은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 임기 보장을 위해 8월 전당대회를 규정한 당헌 조항도 삭제하기로 했다.
김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직을 맡는 조건으로 당을 재건할 충분한 시간과 권한을 요구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다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다음 대선을 어떻게 끌고 갈지 준비가 철저히 되지 않고서는 지금 비대위를 만드는 의미가 없다"고 했다.
사실상 본인이 차기 대선에서 킹메이커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4/ZN.22264117.1.jpg)
한편 당내에서는 김종인 카드가 전혀 신선하지 않다는 비판도 나온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 과정에서 수차례 미래통합당을 민주통합당, 더불어민주당으로 잘못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김 전 위원장은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을 도왔으나, 2016년 총선에선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이어 이번 총선에선 다시 미래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김 전 위원장은 총선이 끝난 직후 비대위원장 추대설이 나오자 "솔직히 이야기해서 그 당(통합당)에 관심이 없다"고 해 무책임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총선 기간 박형준 당시 공동선대위원장이 "개헌 저지선이 위태롭다"며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지만 김 전 위원장은 "동정을 받으려는 엄살"이라고 일축해 보수 유권자 결집을 방해했다는 비판도 있다.
총선 당일에는 "통합당이 1당 하는 데는 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선거 결과와 전혀 다른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