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4.3%는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 ‘생계?경제위기’를 꼽았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 ‘경제 회복’(44.8%)을 답했다.
이와 함께 도민은 메르스나 중증질환(암, 뇌질환 등)에 비해 코로나19 감염병을 훨씬 더 위험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트레스, 불안감, 사회적 영향력 부문에서 메르스는 0.5%, 0.7%, 1.0%, 중증질환은 19.7%, 21.4%, 1.4%인 데 반해 코로나19는 64.9%, 67.4%, 75.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자녀양육 부담과 고용불안에 처한 연령대가 코로나19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위협감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세태도 반영했다.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40대가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68.1%), 불안감(69.3%), 사회적 영향력(79.4%) 등 각 분야에서 제일 높은 위험도를 보여 해당 연령대의 고용불안 심화와 함께 자녀의 개학연기에 따른 양육 부담에 대한 체감도를 반영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는 응답자 54.3%가 ‘생계 및 경제위기’를 지적했고, 다음으로 ‘사회적 혼란 및 스트레스’(24.3%), ‘생명과 건강 훼손’(19.3%) 순으로 답했다.
가계소득이 낮을수록 위기감은 더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인 계층 75.0%가 ‘생계 및 경제위기’로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우려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한편, 경기도가 코로나19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률은 63.3%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6.3%)보다 높게 나타났다.
도민들은 코로나19 이후 경기도가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분야로는 경기도민 44.8%가 ‘경제 회복’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생계 및 경제위기에 대한 사회적 피해가 가장 우려되고 경제 사정이 나빠졌다고 인식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연령별로는 50대에서 55.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경제 회복’ 다음으로는 ‘위기대응 원칙 확립’(23.0%), ‘감염병 예방 보편화’(15.5%), ‘비접촉 문화 가속화’(13.0%) 등의 순위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침체가 두드러진 가운데, 경기도민 90.6%는 재난긴급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 방안으로는 보편적 지원(모두에게 금전성 지급)이 68.4%로, 선별적 지원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김정훈 경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 “코로나19 전염 공포가 경제위기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사회?경제활동 심리 악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과감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고용안정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이어 “이번 위기극복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 대응, 산업?노동구조 재편, 디지털 경제 발전, 사회?경제적 양극화 완화 등 새로운 사회?경제 패러다임 형성을 위한 대전환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