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주의자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의 <법, 입법, 그리고 자유>는 적응을 통해 정의되는 규칙 내에서 행동하는 인간을 통해 형성되는 시장질서인 ‘카탈락틱스’를 주장한다. 카탈락틱스는 ‘공동체로 수용하다’와 ‘적을 친구로 바꾼다’라는 의미를 가졌는데, 인류공동체가 법 없이 이루어낸 진화 결과가 사회집단의 평화에 수렴한다는 사실을 내포한다. 카탈락틱스는 긴 기간에 걸쳐 형태를 갖추어 나가고, 개인은 시행과 착오를 통해 다양한 목표를 성취하며 적응해나간다.
구체적인 법안 없이 자생적 질서 유지는 가능하다. 집단은 이윤 추구 과정에서 의도치 못한 여러 가지 목표를 성취한다. 집단의 구성원이 행위에 대한 간섭을 받지 않고 욕망을 좇을 경우에도, 집단 내 질서유지를 위해 자연스럽게 그들 사이에는 규칙이 성립되고 욕망 충족과 평화를 동시에 이룩할 수 있다.
과도한 입법 활동은 자연스러운 사회 발전을 정체시키고 사회의 기회를 특정집단에 편파적으로 배분하여 미시적 목표 달성을 방해한다. 서로 의도가 충돌하지 않게 개인의 행동영역을 한정하여 모두가 협력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갈등을 조정하는 보통법과 같은 체계를 의회가 형성한다면, 인간은 이념법률이 생각하지 못한 미시적 목표를 성취함과 동시에 이념법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람직한 사회의 모습도 어느 정도 갖출 수 있다. 소극적 입법이 국가 개입을 통한 계획 추진보다 결과가 더디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회 구성원들은 많은 기회와 자유를 제공받음으로써 개인적 목표에 대한 유인을 얻고, 구성원의 목표들이 모여 정의로운 국가를 실현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유찬 생글기자(전주상산고 2년) ycz1543@naver.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