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5/AA.22656376.1.jpg)
지난해 1분기에 매출 2217억원으로 국내 7위에 머물렀던 셀트리온이 68% 성장한 것은 램시마SC 덕분이다. 지난 2월부터 유럽에 출시한 램시마SC는 전체 매출의 29%를 차지할 정도로 단기간에 성과를 냈다. 병원을 찾아가 정맥주사를 맞아야 했던 것을 환자들이 집에서 직접 주사할 수 있도록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꾼 전략이 맞아떨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환자들이 병원 방문을 꺼리는 상황이어서 램시마SC의 경쟁력이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지난해 24조원의 매출을 올린 글로벌 블록버스터 애브비의 ‘휴미라’와도 경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용이 간편한 펜 타입 제형이어서 류머티즘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오리지널 치료제인 엔브렐 휴미라 래미케이드 등의 시장을 동시에 잠식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독일, 영국, 네덜란드 등 3개국에 판매하는 것을 연내에 유럽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매출도 껑충 뛰었다. 지난 1분기 207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동기 1254억원보다 65% 증가했다. 일찌감치 비대면 영업 체제를 갖춰 코로나19 영향이 크지 않았고 수탁생산(CMO) 사업이 성과를 낸 덕분이다. 지난해 1분기 10위였던 매출 순위는 8위로 높아졌다. 제약사 중에는 종근당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종근당은 1분기 매출이 29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늘었다. 위장약 신제품, 골다공증 치료제 등의 매출이 증가한 덕분이다.
영업이익에선 바이오 업체들의 성장세가 더 확연하게 나타난다. 지난 1분기 영업이익으로 셀트리온은 1202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626억원을 기록했다. 두 바이오 업체의 영업이익을 합하면 다른 8개 제약사의 영업이익을 모두 합친 액수인 1367억원보다 많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신약 개발에 나선 바이오 기업의 성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항암제 등 장기 처방이 필요한 필수 의약품은 코로나19 유행에도 매출이 크게 흔들리지 않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