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회의가 끝나자마자 고용노동부는 출입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이 이튿날 아침 브리핑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예정에 없던 브리핑이었지만 언론의 관심은 컸다. 20대 국회 종료와 함께 입법에 성공한 법률의 후속 조치 계획 및 개정에 실패한 법률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궁금했기 때문이다.
이 장관은 브리핑에서 국민취업지원제도와 예술인 고용보험을 언급하며 “취약계층의 고용안전망 강화를 위해 치열하게 고민해주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유종의 미를 거둬주신 20대 국회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도입 등 고용안전망 확대는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위한다는 취지 아래 노동계에서 지속적으로 입법을 요구해온 사안이다.
이 장관은 20대 국회에 ‘섭섭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간 다양한 사회적 논의와 공감대 확산에도 특수고용노동자에 대한 고용보험 적용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이날 이 장관의 언론 브리핑에서는 경영계가 호소하고 노·사·정이 합의해 국회로 넘겼지만 1년 넘게 묵히다가 결국 폐기된 탄력근로제 관련 발언은 한마디도 나오지 않았다. 현 정부 출범 이후 30% 넘게 오른 최저임금 결정체계 개편과 관련한 법안도 무산됐지만 이 역시 관심 밖이었다.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은 현행 최장 3개월로 묶여 있어 산업현장에서는 업무량이 몰리면 건건이 정부의 허가를 받아 연장근로를 하고 있다. 지난 1월 말 정부가 특별연장근로 요건을 다소 완화한 이후 지난 22일까지 총 1142건의 신청이 접수됐다. 줄잡아 하루에만 10여 개 기업이 “일이 몰리고 있어 연장근로를 좀 허락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는 얘기다.
경영계에서는 이 장관의 브리핑을 두고 “씁쓸하다”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고용부가 아니라 노동부로 부르라”던 전임 장관에 비해 균형 잡힌 행정가로 평가했는데 결국 다를 바 없다는 평가였다. “입법 무산은 국회 탓이지만 주무장관의 말 한마디 배려가 아쉽다”는 기업인들의 한숨 소리가 장관에게도 전해지길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