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당 대표를 뽑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를 위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본격 출범하면서 이낙연 민주당 의원(전 국무총리)의 독주체제가 흔들리고 있다. 당헌·당규에 명시된 당권·대권 분리 조항에 따라 ‘7개월짜리 당대표’에 그칠 이 의원의 대표 출마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다. 이 의원은 당대표에 당선된다고 해도 2022년 대선에 출마할 경우 내년 3월까지 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 차기 대권주자로 꼽히던 김부겸 전 의원이 전날 “대표가 되면 임기를 끝까지 마치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면서 이 의원에게 경쟁자들의 집중포화가 쏟아지는 모양새다.
당내 최대 의원모임인 더좋은미래(더미래)는 10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당권·대권 분리 문제를 논의하고 전대가 ‘조기 대권 국면’으로 흐를 가능성에 우려를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진선미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나치게 전대가 과열돼 대권 논쟁으로 가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우리는 우려가 이미 (이 의원에게) 전달된 거로 본다”고 말했다. 당권에 도전하는 홍영표 의원은 이날 김 전 의원과 만나 “지금 대권주자가 당대표에 나가는 것은 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이 의원의 당권 도전 가능성에 불쾌감을 나타냈다.
최근 민주당 내에서는 당헌·당규에서 당권과 대권을 분리하는 조항을 수정하지 않는 방향으로 논의가 흐르고 있다. 당·대권 분리 조항이 개정되지 않는 한 이 의원은 당선 7개월 만에 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이 의원 측에서 당헌·당규 개정에 이어 차선책으로 여기는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 논의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현행 단일지도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함께 뽑게 된다. 1순위 득표자가 당대표를 맡고 차순위 득표자가 최고위원을 맡게 되며 당대표가 사임할 경우 대표직을 최고위원이 승계한다. 대표가 사임하더라도 다시 전대를 치르지 않는다는 의미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전대준비위원회 논의 과정에서는 지도체제 변화에 대한 요구는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금같이 당이 안정된 상황에서는 지도체제를 바꿀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집중포화가 쏟아지자 당권 출마 공식화를 통해 정면돌파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전 의원의 대권 포기 결정에 대한 의견을 묻자 “보도 이외의 것은 잘 알지 못한다”며 말을 아꼈다.
이낙연계 내부에서는 여전히 ‘이낙연 대세론’이 공고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180석에 달하는 거대 여당에 걸맞은 무게감 있는 당대표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낙연계로 분류되는 호남 중진 이개호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문재인 정부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국정 개혁을 뒷받침하기 위해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그 리더십은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낙연 의원이 당을 이끌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개호 의원은 이 의원이 전대 과정 등을 계기로 더욱 확고한 대권 주자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많은 분들이 이낙연과 함께하고 있고 앞으로 확장성도 굉장히 클 것으로 생각한다”며 “대선을 앞두고 여러 견제를 받는 과정에서 이 의원의 포용력이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낙연계로 분류되는 민주당 관계자도 “그동안 이 의원의 인지도가 높아 어영부영 지지 대열에 섞여 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이번 기회를 통해 확실한 자기 사람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아직 인지도 측면에서는 이 의원이 압도적인 1위이기 때문에 대세에는 지장이 없다”고 분석했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