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호의 캐피털마켓 워치] 주가급락에도 금리 오른 세 가지 이유

입력 2020-06-15 09:49   수정 2020-06-15 09:51

≪이 기사는 06월15일(07:3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코스피지수가 지난 12일 2% 넘게 급락하는 동안 채권 가격도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안전자산’인 채권 값은 올라갈 때가 많은데요. 그럼에도 채권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금리는 이날 소폭 상승했습니다. 외국인이 적극적으로 국채선물을 매수했지만, 국내 기관들이 내놓은 매물 벽을 넘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에 물어보니 이날의 금리 상승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나는 재정지출 재원 마련을 위한 국고채 발행물량 증가 부담의 상존 △다른 하나는 두렵기보다는 언젠가 거쳐야 할 주가 조정이라는 기관투자가들의 판단 △마지막 하나는 분기말 금융시장 불안 확대에 따른 외국인의 이탈 우려입니다.

가장 큰 부담은 국고채 발행물량 증대 우려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출 계획은 앞으로 시장에 대규모 국고채가 쏟아져 나올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습니다. 박종연 IBK연금보험 증권운용부장은 “최근 금리 움직임에는 수급 관련 부담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날의 주가 급락을 “안전자산 쏠림을 일으킬 만큼 놀랍거나 공포스런 현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채권 자체의 수급 전망에 기초해 차분히 매매에 임했던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다소 섬뜩한데요. 외국인의 이탈 경계감입니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대출 관련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비우량 회사채 등 일부 상품이 여전히 원활하게 소화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분기말 만기 집중과 맞물려 채권시장 전반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완전히 가시지 않은 상황입니다.

금융시스템 불안에 따른 외국인의 이탈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 시장에 강력한 ‘트라우마’로 남아 있는데요. 1분기 말인 지난 3월에도 잠시 비슷한 공포를 경험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기업들의 연쇄 부도 공포가 커졌던 13일의 금요일, 등골을 오싹하게 하는 외국인의 국고채 대량매도가 나타났었거든요.

당시 외국인은 국채선물을 2만계약 순매도했습니다. 현물로 따지면 약 2조원어치 국고채를 순매도한 것과 같은 효과의 매물 공세였습니다. 이 때문에 주식(-3.43%)과 채권가격의 급락(10년물 금리 0.18%p 상승)이 동시에 나타났습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분기말 단기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늘어날 수 있어 눈여겨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태호 기자 thle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