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애플에 휴대폰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LG이노텍은 3.30% 떨어진 16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비에이치(-4.94%), 덕우전자(-3.85%) 등 애플에 납품하는 국내 업체들은 일제히 주가가 하락했다. 삼성전자(-1.70%), SK하이닉스(0.59%) 등 반도체 주가도 부진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6/AA.22991101.1.jpg)
하지만 애플스토어의 영업 여부 자체가 경기 활성화 여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으로 투자자들에게 읽히고 있다. 실제 애플스토어 폐·개장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미국 증시는 반응했다.
지난 3월 16일 애플이 중화권을 제외한 전 세계 매장을 폐장한다고 발표한 다음 거래일인 19일 나스닥지수는 12.32% 폭락했다. 애플스토어 폐장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더라도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한 경기 위축 우려를 피부로 와닿게 해준 사건으로 투자자들에게 각인됐다.
이후 4월 16일 애플이 한국 매장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의 매장을 다시 열겠다고 발표하자 다음 거래일인 17일 나스닥지수는 1.38% 반등했다. 미국 언론에서도 애플스토어 재개장이 투자 심리를 회복시키고 있다는 보도가 연이어 나왔다. 애플스토어 100여 개 매장이 추가 개장한 5월 17일 다음날에도 경기 회복 기대에 나스닥지수가 2.44% 올랐다.
반대로 지난 19일 오후 애플스토어 재폐장 소식이 전해지자 나스닥지수가 급락, 장중 하락 반전하기도 했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애플스토어 개장 여부에 따라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모양새”라고 말했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