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는 24일 이런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발의할 계획을 밝혔다. 개정안은 인프라펀드에 대한 ‘분리과세 5%’를 적용하는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하기로 했다. 이 의원실 관계자는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재원 조달이 필요하다”며 “시중에 풍부한 민간 자금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를 유도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등 한국판 뉴딜을 위한 사업에 참여하는 인프라펀드가 세제 혜택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인프라펀드에 투자해 얻는 배당소득에 낮은 세율(5%)이 적용되고 분리과세도 가능해진다. 인프라펀드의 배당 수익은 물론 세제 혜택에 따른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민간 자금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민주당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즉시 과제로 채택하면서 이르면 내년 세제개편안에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낙연 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은 내년에 보편적 증세를 논의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회 활동 보고회를 마친 뒤 보편적 증세에 대한 의견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전 국민) 고용보험을 포함해 사회안전망의 확충을 내년이면 어디까지 할 것인지, 그에 따른 세수·세입은 얼마나 필요할 것인지가 나와봐야 알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런 계산이 나오기 전에 증세 논쟁을 벌이는 것은 오이를 머리부터 먹는 것과 같다”고 덧붙였다. 앞뒤가 바뀌었다는 얘기다.
이 위원장이 비록 전제를 달긴 했지만 민주당 지도부에서 보편적 증세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국민 고용보험 도입 등 복지정책 확대로 소요 예산이 늘어나면 보편적 증세를 논의할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읽히는 발언이다. 이 위원장은 ‘내년’이라는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했다.
앞서 민주당 최대 모임인 더좋은미래의 싱크탱크 더미래연구소는 지난달 “재분배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보편적 증세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후 이원욱 민주당 의원은 지난 4일 SNS에 기본소득 도입 시 보편적 증세 필요성을 거론했다.
조미현/임도원 기자 mwis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