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은 RPA 도입을 위해 지난 2월부터 주요 업무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성을 검토, 16개 단위업무를 도출하고 그 중 일부에 대해 국내·외 자동화 프로그램을 비교·검증했다.
다수공급자계약 ‘우대가격 유지 의무 준수 여부 관리’와 ‘조달통계 작성’ 등의 업무에 대한 시범 적용 결과 업무처리시간이 약 50% 정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은 시범 적용 및 해결방안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직접생산 확인 증명 유효기간 안내’와 ‘입찰현황 자료 작성’ 등의 업무에 대해서도 RPA를 적용할 예정이다.
올해 구매사업국의 물품구매 업무에 이어 용역계약, 공사계약, 공정조달 등 다른 업무 분야에도 RPA 적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백승보 조달청 조달관리국장은 “조달청 일부 업무에 RPA를 적용해 업무 부담을 줄이고, 창의성을 요구하거나 부가가치가 높은 업무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조달청 내부 업무 효율화는 물론 발주기관, 조달기업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도 도움이 되도록 RPA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