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09337.1.jpg)
아시아나항공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인수 상황을 지켜보기로 했고, 저비용항공사(LCC)는 지원 대상에서 아예 빼버렸다. 항공을 제외한 업종은 논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기안기금이 실제 가동될 때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기안기금 설치 방안이 지난 4월 22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처음 발표됐을 때는 일사천리였다. 바로 다음날 국회에서 산업은행법 개정안이 발의됐고 1주일 만에 본회의를 통과했다. 대통령 국무회의에서 시행령이 공포될 때까지 보름도 걸리지 않았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산은법의 국회 통과를 앞두고 “(실제 기업에 지원이 이뤄지는 시점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운용심의회를 구성하는 7명의 위원이 저마다 생각이 달라 의견 조율에 애를 먹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국회 여야, 3개 정부 부처, 산업계 등에서 위원들을 추천하다 보니 ‘배가 산으로 가고 있다’는 말까지 돈다.
정부 쪽에서는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4월보다 경제 위기감이 줄어든 결과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위기가 정점이었을 때는 시장을 압도할 대책이 필요하다”며 “아직까지 돈이 한 푼도 쓰이지 않았지만 40조원을 언제든 동원할 수 있다는 안정감을 갖도록 한 데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기안기금은 유사시 시장안정판으로서 버팀목 역할을 하는 게 주목적”이라고 기금의 역할 변화를 시사했다. 기안기금은 다음 주 초 쯤 기업 자금 신청 공고를 내기로 했다.
박종서 기자 cosm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