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5대 은행의 신규 신용대출 건수가 전달 대비 3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17 부동산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수요자의 발걸음이 신용대출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규제의 화살이 신용대출에까지 향할 것이라는 불안감에 ‘일단 받아 놓고 보자’는 식의 대출도 급증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을 누르니 신용대출이 부풀어 오르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8일 신한 국민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신규 신용대출이 18만1539건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기 시작한 3월(19만4273건)에 버금가는 수치다. 당시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급전 수요’가 늘면서 신용대출 건수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4~5월엔 평년 수준(각 13만~14만 건)으로 수그러들었다가 6월 들어 30% 이상 불어났다. 신용대출은 1인당 1건 받는 게 일반적이다. 10만 명을 훌쩍 넘는 사람이 은행 창구에서 새로 신용대출을 받은 셈이다.
6·17 부동산대책이 신용대출을 늘린 주요인으로 꼽힌다. 부족한 주택 구입 자금을 신용 대출로 메우려는 수요가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향후 주택 구매를 고려해 금리가 쌀 때 미리 대출을 받아 놓으려는 ‘가수요’도 늘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도한 부동산 규제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주춤하던 신용대출 시장에 다시 불을 붙이고 있다”며 “‘어차피 집을 사기는 힘들다’는 생각에 빚을 내 주식시장으로 가는 ‘개미’도 계속 늘어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은행 자산관리(WM) 관련 상담센터와 일선 지점에도 주택 관련 대출 상담을 받으려는 고객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대형은행 WM센터의 부동산 전문위원은 “9억원까지 상승 여력이 있는 서울 6억~9억원대 아파트와 김포, 파주 운정 등 미규제지역에 대한 구매 수요가 전국에서 쏟아지고 있다”며 “금천구 시흥동,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9억원 이내 아파트 단지를 찍어놓고 집을 보지도 않고 구매하는 사례도 많다”고 전했다.
낮아진 신용대출 금리도 수요에 불을 댕겼다. 기준금리가 떨어지면서 고(高)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금리는 최근 연 1%대 후반까지 내렸다. 신용이 높으면 주담대(연 2%대)보다 더 낮은 금리에 돈을 빌릴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집값이 지금보다 더 오를 수 있다’는 생각에 무리해서라도 집을 장만하려는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며 “신용대출 규제가 강화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미리 주택 예비 자금을 마련해 놓으려는 고객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형식적인 절차는 은행마다 존재한다. 한 시중은행은 금융 소비자가 1억원 이상의 신용대출을 받을 때 자금용도를 철저히 묻고 있다. 또 주택 구입 시기 전후 한 달간 신용대출을 막는 조치도 병행 중이다. 그러나 금융 소비자가 대출 목적을 ‘사업 자금’ 또는 ‘생활 안정자금’으로 적어내면 이를 모두 밝혀내기는 불가능하다.
어떻게든 주택 자금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를 겨냥한 ‘꼼수 대출’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방 저축은행과 캐피털사 등 2금융권에서는 아파트 시세의 90% 이상을 대출로 내준다는 광고가 허다하다. 대부분은 개인 사업자 대출로 자금을 빌려준 뒤 주택자금으로 쓰게 하는 구조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사업자 명의로 받은 대출로는 집을 살 수 없지만 주택 사업자로 등록하면 가능하다”며 “편법이지만 당장 잔금을 치르기 어려운 사람들이라면 뿌리치기 힘든 유혹”이라고 했다.
금융권에선 이 같은 ‘대출 대란’이 향후 전 금융권에 피해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부실 우려가 작은 주담대 대신, 담보가 없는 개인 신용대출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부실 규모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올 들어 코로나19 피해를 본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을 늘리면서 건전성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며 “개인신용대출 증가세까지 계속될 경우 향후 부실 충격은 더 커지게 된다”고 말했다.
정소람/김대훈 기자 ram@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