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01.23164691.1.jpg)
“무주택 서민은 보금자리론과 같은 정책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활용하면 된다.”
2017년 ‘8·2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현 원내대표)가 한 말이다. 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됐지만 실수요자에겐 보금자리론이라는 길이 열려 있으니 오히려 “득이 되는 정책”이라고 했다. 보금자리론은 무주택 실수요자가 많이 찾는 대표적 정책대출이다. 규제지역에서도 담보인정비율(LTV)이 최대 70%까지 나오는 유일한 상품이다. 서민용이라는 정책 취지에 맞게 가격이 6억원 이하인 주택을 구입할 때만 신청할 수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64301.1.jpg)
이 기간 광진구의 6억원 이하 아파트는 1만1209가구에서 841가구로 92.5% 급감했다. 동작구는 2만9162가구에서 2785가구로 90.4% 감소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에서도 보금자리론 대상 아파트가 90% 안팎 사라졌다. 마포구에 3881가구, 용산구에 712가구, 성동구엔 1319가구만 남았다.
뒤이어 집값이 상승세를 탄 노·도·강(노원·도봉·강북)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도 사정은 비슷하다. 관악구의 6억원 이하 아파트는 3만5307가구에서 1만6273가구로 반토막 났다. 서울에서 아파트가 가장 많은 노원구에서도 11만6594가구에서 8만5865가구로 26.4% 줄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164302.1.jpg)
보금자리론을 통한 내 집 마련은 지방에서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추세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보금자리론이 처음 출시된 2004년에는 서울 이용자 비중이 21.2%였지만 지난해에는 10.7%로 낮아졌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17년만 해도 서울에서 3억원 이하(실거래가 기준) 아파트 거래가 전체의 20%를 차지했지만 올해는 10%에 못 미친다”며 “현실적인 시세 상황을 고려해 정책 모기지 대상 주택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젊은 무주택 직장인을 중심으로 “보금자리론 대상 주택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2009~2016년에는 보금자리론 대상 주택 기준이 9억원 이하로 운영된 적이 있다. 30대들은 내 집 마련에 다급해하고 있지만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장혜영 정의당 의원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288조원) 중 30대 이용자(102조7000억원) 비중이 35.7%로 가장 높았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한정된 재원으로 최대한의 서민 주거안정 효과를 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공급 대상 확대는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또 서울 지역의 보금자리론 판매액이 지난해 1분기 2525억원에서 올 1분기 2조1163억원으로 늘어난 점 등을 들어 “서울에서도 정책 취지를 달성하고 있다”고 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