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의 비결은 대규모의 파격적 보조금이다. 중소기업이 자국으로 유턴하면 이전비용의 3분의 2, 대기업도 그 비용의 절반까지 보전해준다. 지원 대상에서 대기업을 제외하기는커녕 유턴을 적극 권유한다. 도요타자동차가 2015년과 2017년 유턴한 데 이어 닛산(2017년), 혼다(2018년), 캐논(2019년) 등이 해외사업장을 일본으로 돌린 것도 모두 그래서다. 그 결과 2010년 이후 연평균 100개 이상의 기업이 일본으로 돌아오고 있다. 일본은 유턴뿐 아니라 공급망 관리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지역으로 분산시키는 니어쇼어링에도 지원의 손길을 편다.
반면 우리 정부의 유턴기업 지원은 변죽만 울릴 뿐 실질적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기업유턴을 위한 종합지원책을 내놓았지만 정작 산업계에선 떨떠름하다. 지난달 대한상의가 해외공장이 있는 308개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유턴 계획이 없다’고 밝힌 곳이 전체의 94.4%에 이른다. 올 들어 한국으로 돌아온 기업은 7곳에 불과하다.
기업들이 소극적인 이유는 정부가 보조금을 줘도 수도권 입지규제(공장총량제), 주 52시간제로 인한 고용시장 경직성 등 유턴을 가로막는 요인이 하나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기업의 경우 지난해 8월에서야 뒤늦게 지원대상에 포함된 것도 기업 유턴이 부진했던 이유 중 하나다.
코로나 이후 글로벌 무역질서는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각국이 필사적으로 자국기업을 불러들이는 이유다. 좀 더 파격적이고 피부에 와닿는 유턴기업 지원책이 절실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