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77931.1.jpg)
비만약 시장 연 30% 이상 성장
비만치료제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린 것은 1996년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하면서다. WHO에 따르면 1975년 이후 전 세계 비만인구는 2010년대 중반까지 세 배 이상 증가했다. 비만이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처방 가능한 제품이 늘면서 비만치료제 시장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은 2016년 11억달러에서 연평균 32.8%씩 성장해 2027년 241억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007/AA.23279561.1.jpg)
K바이오, 삭센다에 속속 도전장
삭센다는 기존 비만치료제보다 안전하다는 게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대다수 비만치료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인위적으로 세로토닌,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게 하는 향정신성의약품이다. 중독성이 강하고 불안, 우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부작용 때문에 리덕틸, 리덕스 등 5개 제품은 퇴출됐다. 지난 2월 에자이의 비만치료제 ‘벨빅’은 발암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로 판매 중지됐다.국내 바이오기업 노브메타파마와 셀리버리는 ‘렙틴’이란 호르몬에 주목하고 있다. 렙틴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포만감을 느끼게 해 식욕을 조절한다. 비만 환자는 렙틴이 제 기능을 못해 포만감을 못 느끼고 계속 먹게 된다. 노브메타파마는 미국 임상 2상에서 12주 만에 환자 체중이 최대 3%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삭센다는 52주간 진행한 임상 3상에서 체중이 5~10% 줄었다.
삭센다보다 투약이 편리한 제형 개발에도 관심이 높다. 삭센다는 환자가 매일 일정량을 직접 주사해야 한다. 미국 임상 1상 중인 한미약품의 ‘글루카곤 아날로그’는 1주일에 한 번 투여하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셀리버리와 노브메타파마는 경구제로 개발 중이다.
당뇨 치료 효능은 덤
노브메타파마와 셀리버리가 개발 중인 치료제는 비만에 동반되는 당뇨에도 효과가 있다. 삭센다에는 없는 효능이다. 셀리버리는 동물실험에서 쥐의 혈당이 67%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셀리버리 관계자는 “비만 환자는 장기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긴다”며 “정기적으로 복용하면 당뇨까지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비만치료제가 각광받을 것”이라고 했다.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