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변인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지난 20일과 22일 서울·부산시장 재보궐 선거 공천 발언과 관련해, 많은 언론과 정치권이 이 지사의 ‘말 바꾸기’라고 규정하며 비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이 지사를 공격하려는 의도적 주장이거나, 또는 당시 발언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았거나 문맥을 무시하고 일부 발언만 인용하며 비난하는 의도적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 20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한 이 지사의 발언과 관련해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민주당의 서울시장 부산시장 공천여부를 놓고 많은 논란과 제 입장에 대한 오보들이 있다"며 "공당의 대국민 약속이자 자기 약속인 무공천을 어기는 것이 불가피하다면 어겨야 한다. 다만 이 경우 약속을 어길 수밖에 없는 사정을 국민들께 석고대죄하는 자세로 설명드리고 사죄하며 당원의 총의로 규정을 개정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었다.
김 대변인 이와 관련해 "이 지사의 지난 20일 CBS 인터뷰 방송에서 한 발언은 국민한테 약속을 했으면 공당이 그 약속을 지키는 게 맞고, 무공천하는 게 맞다고 보고”라고 전제한 뒤 “두 번째로는 도저히 견딜 수가 없으며 당이 국민에게 석고대죄하고 그다음에나 겨우 규정 바꾸고 국민한테 석고대죄하는 정도의 사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즉 무공천하는게 원칙이고 맞다고 보지만, 민주당이 정치적으로 결딜 수가 없으면 국민에게 진정성을 갖고 사과한 뒤 규정을 바꾸고 공천하되, 국민에게 석고대죄하는 정도의 사죄를 해야 한다는 말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두 발언의 비교에서 보듯 지난 20일 방송 발언과 22일 페이스북 글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며 “무공천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불가피하다면 국민에게 석고대죄하는 자세로 설명하고 사죄해야 한다는 내용으로 같은 내용이다”고 주장했다.
김 대변인은 “그런데 대다수 언론과 정치권은 지난 20일 방송의 앞부분만 이야기하며 뒷부분은 하지 않은 이야기인양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이 지사의 글을 놓고 ‘말 바꾸기’라고 비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지사가 정치적 오해가 없도록 방송에서 더욱 신중하게 발언해야 한다는 일부의 지적은 경청할 부분이 있지만, ‘말 바꾸기’라는 건 언어도단이며 ‘비판을 위한 비판’, ‘비난을 위한 비난’”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 대변인은 “다시 한번 정치권과 언론에 대해 왜곡된 주장과 비난을 멈추고, 한국정치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이 지사의 충심과 진정성을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관련뉴스